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유아 공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사이트 Textom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키워드 ‘유아+공교육’을 수집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과정을 거쳐 주요 키워드 50개를 선정 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공교육’과 동시에 출연한 키워드 중 가장 많이 출현한 것은 ‘유치원’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문제’, ‘국가’, ‘학부모’, ‘영어’, ‘사교육’ 순이었다.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도 동일하였다. 매개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로는 ‘확대’였다. CONCOR분석 결과 ‘설립’, ‘운영’, ‘내용’ 키워드에 집중적으로 연결된 군집이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유아 공교육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유아 공교육’이 올바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유치원에서부터 공교육이 출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교육이 공교육으로 나아가는데 있어 여러 가지 교육의 질 문제가 우려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 공교육’은 국가 정책적 기반이 우선되어야 하며 공교육의 관한 사회구성원의 올바른 인식을 통한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look at society’s overall perception of public education for infants through big data and analysis of social networks. For this research, the keyword ‘child+public education’ was collected based on big data provided by Textom and analyzed social network. The collected data was refined and 50 key keyword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a study, Among the keywords that appeared at the same time, in ‘childhood public education’ the most frequent is ‘kindergarten’, after that followed by ‘problem’, ‘national’, ‘parent’, ‘English’ and ‘private education.’ In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were the same. In the Between centrality, highest keyword was ‘expansion.’ CONCOR analysis resulted in clusters that were intensively linked to keywords ‘set up’, ‘operating’, and ‘content.’ Through this, we recognize that public education for infants should start from kindergarten in order for Korea’s ‘infant public education’ to settle properly, and we ar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infant public education’ can be seen that the national policy base should be prioritized and changes should be made through the correct recognition of members of society on public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