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기 중 수증기는 미세먼지의 흡습 성장을 야기하고, 입자상 물질의 측정에 있어 오차를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측정기 내부의 습기가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1년간 연속으로 측정된 외기습도, 측정기기 상대습도, PM2.5 및 광산란계수를 관찰했다. 기기 상대습도가 저습으로 유지되는 기간과 그렇지 않은 기간 동안 광산란계수 ≤ 200 Mm-1와 PM2.5 ≤ 90 ㎍/m3에서 질량산란효율을 계산했고, 저습일 때 PM2.5와 광산란계수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간 대기 절대습도를 이용해 실제 습기량이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겨울철과 여름철의 외기절대습도 평균은 각각 0.34%와 1.84%로 기기 상대습도가 50%에 도달하는 시간은 약 668일과 46일로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외기절대습도에 따른 기기 상대습도의 시간에 대한 변화를 선형 회귀분석해 확산건조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humidity inside the instrument on the measurement of PM2.5 and the scattering coefficient. For one year, at three sites, we monitored the (i) ambient humidity, (ii) relative humidity (RH) inside the scanning mobility particle spectrometer (SMPS) and the nephelometer, (iii) PM2.5 concentration, and (iv) scattering coefficient. The correlation between PM2.5 and scattering coefficient was better at low humidity than at high humidity. We calculated the actual amount of water vapor from the annual variation of atmospheric absolute humidity (AH) to analyze the effect of humidity on instruments. The average ambient AH during winter and summer is approximately 0.34% and 1.84%, respectively. It is calculated that the RH inside the instrument reaches 50% in approximately 668 days in winter and 46 days in summer. It is the hallmark of this study to predict the lifetime of a diffusion dryer using the linear regression of the change in RH of the instruments according to ambient 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