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수주산업 핵심감사제를 적용한 기업의 감사시간, 감사보수 및 시간당 감사보수로 측정된 감사품질이 이전 연도에 비하여 향상되었는지와 수주산업 핵심감사제를 적용한기업의 감사품질이 그렇지 않은 기업의 감사품질에 비하여 우수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최초의 연구이다. 연구결과 수주산업 핵심감사제를 적용한 기업의 감사투입변수로 측정된감사품질이 제도의 도입 이전과 비교하여 향상되었다는 통계적인 결론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수주산업 핵심감사제가 최초로 시행된 2016년의 경우 전체 상장기업의 감사품질에 비하여 수주산업 핵심감사제가 적용된 기업의 감사품질이 우수하다고 결론 내리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6년의 감사품질변화를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에서도 수주산업 핵심감사제가 적용된 기업의 감사품질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는 실증적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수주산업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감독 당국에서 당초에 의도하였던 회계처리의투명성을 강화하고 감사기능 정상화를 통해 위험요인에 대한 선제적 관리기능을 강화하지못한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이미 제도의 도입 이전에 수주산업에 대한감사위험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감독 당국이나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인식이 있었고, 감사인들이 이미 감사시간이나 감사보수에 이러한 위험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제도의 도입에 따른 추가적인 감사품질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수주산업 핵심감사제의 도입과 관련하여 감사인의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방향성으로 뒷받침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수주산업 핵심감사제를 적용한 기업의 감사투입변수로측정된 감사품질이 제도의 도입 이전과 비교하여 향상되었다는 통계적인 결론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수주산업 핵심감사제가 최초로 시행된 2016년의 경우 전체 상장기업의 감사품질에 비하여 수주산업 핵심감사제가 적용된 기업의 감사품질이 우수하다고 결론내리기 힘든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6년의 감사품질변화를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에서도 수주산업 핵심감사제가 적용된 기업의 감사품질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는 실증적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수주산업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감독 당국에서 당초에 의도하였던 회계처리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감사기능 정상화를 통해 위험요인에 대한 선제적 관리기능을 강화하지 못한 것이라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audit quality of the companies applying the quasi-Key Audit Matters (“KAMs”), newly adopted from 2016, in the make-to-order industry in Korea. The audit quality is measured by audit hours, audit fees and hourly rates.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audit quality of the companies applying the quasi-KAMs is improved compared to previous year and is superior to the other companies which are not applying the quasi-KAM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the audit quality, measured by audit input variables (i.e., audit hours, audit fees and hourly rates, respectively), of companies applying the quasi-KAMs is improved compared to previous year.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audit quality of companies applying the quasi-KAMs is superior to the audit quality of the other companies, which are not applying the quasi-KAMs in 2016. On the other hand, in the analysis on changes in the audit quality of 2016,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the audit quality of companies applying the quasi-KAMs is more improved than the audit quality of the other companies which are not applying the quasi-KAMs. Even if there is no clear empirical evidence on th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of companies applying the quasi-KAMs, we cannot conclude that the adoption of the quasi-KAMs has no impact on enhancement of the accounting transparency by companies applying the quasi-KAMs in the make-to-order industry in Korea, and audit process of the Korean auditors, which were originally intended by the regu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