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규장각 소장 조선 중기 이후 서화 및 채색지도류에 사용된 직물 소재를 분석하였다. 총 21 점의 자료목록 가운데 반 이상이 모사직(模紗織, plain imitation gauze)의 화견을 바탕재질로 사용하였고, 8점은 평직물, 나머지 1점은 5매 수자직물에 그린 것이었다. 화견은 실 굵기, 올 수(합사수), 도가 다양하게 제작되었으며, 규장각 유물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경위사 굵기가 같은 것에서부터, 위사에만 굵은 실을 사용한 것, 또는 같은 굵기의 실이지만 위사를 2올까지 사용한 것이 있었다. 자료목록 가운데 일부 샘플링이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FE-SEM 관찰을 통한 섬유 동정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이 정련하지 않은 실크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상 분석 결과, 각 자료 유물의 색상분포는 붉은색과 노란색의 혼합 영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 며 제작 연대에 관계 없이 작품 별로 다른 L*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미루어 이들의 보관 과정 에서 자연적인 노화 외에 열화현상을 촉진시킨 다른 원인이 있었거나 또는 제작 시에 바탕에 색을 입혔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의 유지관리에 있어 우선순위를 결 정하는 데에 필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Some East Asian paintings and cartographies are based on the textile background, not on the paper. Out of 21 list from Kyujanggak Archive, we identified more than half of them were painted on the pain imitation gauze fabrics, 8 of them on the tabby fabrics, and 1 on the 5/1 satin fabric. The variety of painting silks can be made by the combinations of several elements—yarn thickness, yarn count and fabric count. Only in cases where sampling was available, we processed a microscopic observation through FE-SEM. Most of the samples were clearly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raw silk fibers, and only one of them were identified as the cotton fiber. In the colour analysis by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were scattered in yellow-red area and their L* values were also varied regardless their ages. As these artefacts were the part of Royal Archive and given the fact that the storage conditions were similar, we can only assume that there were some other stimuli for accelerated aging in some of the pieces or the possibility of using dyed fabric from the begin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offers the clues to set the priority in conservation/maintenance plan of textile-based ar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