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자동차와 관련하여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요인(기능성, 경제성), 사회요인(정부혜택, 사회이미지), 지각된 유용성, 소비의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소비자의 혁신추구 및 친환경의식에따른 제품요인(기능성, 경제성), 사회요인(정부혜택, 사회이미지)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에 따른차이 분석결과에서는 8개 변수 중 기능성, 경제성 등 7개 변수에서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사실은 지각된 유용성을제외한 다른 변수에서 모두 20대 이하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친환경 자동차 경험의 경우 정부혜택, 혁신추구, 친환경의식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 ‘있음’의 평균값이 ‘없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품요인(기능성, 경제성)과 사회요인(정부혜택, 사회이미지)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분석결과를 보면, 기능성을 제외한 경제성, 정부혜택, 사회이미지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정부혜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유용성은 소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제품요인과 사회요인이 종속변수인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기능성과 사회이미지 두 변수 만이 소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소비자의 혁신추구 및 친환경의식의 조절효과 결과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추구에 따라 경제성이 지각된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의식에따라 정부혜택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ntion to use environmental friendly cars by Chinese consum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 factor(functionality, economic efficiency), social factors(government benefits, social image), perceived use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And conducted a research on taking consumer’s personal factors(innovation seeking, environmental awareness) as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collected 318 survey data from a professional survey company- ‘wenjuanxing’ in Chin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hir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is the main result. First, it can be seen that age group under 20s has a higher receptivity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and people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environmental friendly cars have high innovation seeking and environmental awareness. Second,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government benefits and social image positively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government benefit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In addition, only the functional and social im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cars. Third, between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innovation seeking has the regulating effect, and between thee government benefits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has the regulat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