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바람재일대의 산림생태계복원 이후 식생유형에 따른 천이경향에 대한 산림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바람재일대의 식생유형 분류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식생조사법에 따라 총 81개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소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단위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단위에서떡갈나무전형소군, 버드나무소군, 신갈나무전형소군으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식생단위 1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 떡갈나무, 식생단위 3은 소나무, 그리고 식생단위 4는 버드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천이계열에 따라 층위별 이입 종의 우점도 차이를 보였다. 식생유형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천이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를 분석한 결과, 1축(33.2%) 및 2축(28.9%)로 종합 설명력 62.1%로 나타났다. 복원 이후, 천이경향은 식생단위 1과 식생단위 2가 가장 광범위한 식생으로 발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단위 2와 식생단위 4에해당하는 버드나무소군은 초기식생 발달에 이입된 종이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바람재 일대는 단계적 천이계열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succession by vegetation type after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in the Baramjae area. Vegetation of the Baramjae area was classified using a survey of 81 sites from May to October 2019.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with both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 densiflora typical community. The group unit was further classified as the Quercus dentata typical subgroup, Salix koreensis subgroup, and Q. mongolica typical subgroup. Such as Q. mongolica, Quercus variavilis in vegetation unit 1, Q. mongolica, Q. dentata in vegetation unit 2, P. densiflora in vegetation unit 3 and S. koreensis in vegetation unit 4 were shown a high importance value. The difference in species by vertical layer is explained by sere. Based on the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system,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trend of succession. Since restoration, vegetation unit 1 and vegetation unit 2 were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the most extensive vegetation. In vegetation unit 2 and vegetation unit 4, many of the species found were in the early vegetation development in S. koreensis subgroup. Accordingly, vegetation in the Baramjae area can be categorized as a stepwise succ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