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향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146개 거주시설 401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 의향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으며, ADL 수준이 높을 때 탈시설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요인으로는 입소기간이 길고, 시설만족도가 낮을 때, 자립요인으로는 자립생활지원정보를 알고 있거나, 자립지원서비스 정도가 높고, 다른 사람의 시선과 선입견이 낮을 때 탈시설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탈시설 및 자립 위한 정보제공,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주거지원, 탈시설 직후 활동지원서비스 시간 확대, 재시설화 예방 위한 주간활동 지원 그리고 일자리 등 경제활동 지원 등을 정책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living in facilities and to suggest a future improvement plan of policy for their independent living suppor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01 people with disabilities in 146 residential facilities in Gyeonggi-do and we us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s an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disabled people in facilities. As a resul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young age, high educational level and high ADL make the inten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strong. Also, facility factors like long period of residence, low facility satisfaction and independent living factors like having information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good independent living service, few community preconceptions about disability make it strong. Based on this, the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housing support for settlement in the community, extended hours of activity support service immediately after deinstitutionalization, daytime activities support to prevent re-institutionalization, and support for economic activities like 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