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망막정맥폐쇄 환자에서 시력과 맥락막두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안저사진과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통해 망막정맥폐쇄로 진단받고 최소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총 100명을 대상으로 환자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맥락막두께, 황반허혈의 범위, 황반부종의 정도와 범위, 초진시력, 6개월 이후 시력, 치료 방법을 비교하였다. 맥락막두께와 황반허혈 및 부종의 정도는 초진 후 2주 이내에 촬영한 형광안저혈관조영술과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중심와아래 맥락막두께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맥락막두께는 빛간섭단층촬영의 enhanced depth imagin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35안의 초기 맥락막두께는 평균 293.26 ± 61.63 μm로 반대안 240.77 ± 69.79 μm에 비해 유의하게 두꺼웠으며, 치료 시행 6개월 이상 경과 후 맥락막두께는 감소하였다. 초기, 후기 맥락막두께의 변화량은 시력 호전군과 시력 비호전군에서 각각 50.0 ± 29.5 μm, 26.6 ± 21.6 μm였고, 황반두께의 변화량은 각각 226.1 ± 165.7 μm, 73.5 ± 81.5 μm였다(p = 0.004, p = 0.018). 초진 및 6개월 이후 시력과 맥락막두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망막정맥폐쇄 환자에서 시력과 맥락막두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오히려 맥락막두께와 황반두께의 변화와 관련을 보였다. 이는 황반부종과 맥락막두께 간의 병태 생리학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acuity and changes of choroidal thickness in retinal vein occlusion patients (RVO). Methods: A total of 100 patients were reviewed and 35 patients (35 eyes) were included. They were diagnosed with RVO through fundus photography and fluorescein angiography. And they were at least 6 months of follow-up. We compared the choroidal thickness, macular ischemia range, macular thickness and range, initial visual acuity, final visual acuity, and treatment methods. The choroidal thickness, degree of macular ischemia, and edema were assessed by fluorescein angi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within 2 weeks of the initial visit. We analyzed changes of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with enhanced depth imaging of Spectralis HRA+OCT. Results: The mean initial choroidal thickness of 35 eyes was 293.26 ± 61.63 μm, which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at of the opposite eye (240.77 ± 69.79 μm). Choroidal thickness decreased after 6 months of treatment. The changes in the initial and late choroidal thickness were 50.0 ± 29.5 μm and 26.6 ± 21.6 μm, respectively, in the visual acuity group and the non-visual acuity group, respectively. The changes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were 226.1 ± 165.7 μm and 73.5 ± 81.5 μm, respectively (p = 0.004, p = 0.018). Visual acuit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sual acuity and choroidal thickness in RVO patients. Rather, it correlated with changes in choroidal thickness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pathophysiologic relation between macular edema and choroidal thic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