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박물관에 있어서의 출입구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수치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것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차후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고자 했다. 사례의 범위에 있어서는 많이 알려진 우리나라 박물관 사례들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박물관 영역과의 관계 또한 알아보려 시도하였다. 그 전제로 박물관 영역을 전시, 수장, 관람객 편의, 교육, 사무, 연구, 관리 등 7개로 분리한 연구를 기초로 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의 53%는 3~4개의 출입구를 가지고 있다. 출입구 8개 이상의 사례는 1개(3%), 7개의 사례는 3개(8%), 6개의 사례는 6개(15%), 5개의 사례는 7개(18%), 4개의 사례는 11개(28%), 3개의 사례는 10개(25%), 2개의 사례는 2개(5%), 1개의 사례는 없었다. 둘째, 전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출입구는 5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교육영역의 출입구, 수장영역의 출입구, 직원(사무+연구)의 출입구, 관리영역의 출입구 및 비상구였다. 사례의 73%가 수장영역을 위한 출입구를 가지고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ntrance in Korea Museum. The first is numerically analyzed in the study. And museum of Korea was limited to the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ance and zoning is also the subject of study. Zoning theory of Museum spaces is generally applied and is divided into 7 zones in Korea; exhibition, collection storage, visitor service, education, administration, curatorial and technical suppor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53% of cases have 3~4 entrances; 1) ~8 entrances: 1(3%), 2) 7 entrances: 3(8%), 3) 6 entrances: 6(15%), 4) 5 entrances: 7(18%), 5) 4 entrances: 11(28%), 6) 3 entrances: 10(25%), 7) 2 entrances: 2(5%), 8) 1 entrances: 0(0%). Second, the entrance of other zones except the exhibition zone are 5 types; entrance for the education zone, the collection storage zone, staff(administration + curatorial), the technical support zone and exit. And 73% of cases have entrance for the collection storage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