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지털 뉴미디어가 문화 콘텐츠의 공급과 소비 방식을 급속도로 변화시켜왔지만, 문화예술 분야에서 이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COVID-19는 문화예술의 직접관람 기회를 제약하는 한편, 뉴미디어를 통하여 문화예술을 감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뉴미디어가 주요한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부상한 현재, 문화예술의 직접관람과 디지털 뉴미디어를 통한 간접관람의 향유 결정요인을 찾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2018년과 2019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영과잉음이항회귀모형을 적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소득과 유․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받은 문화예술교육경험이 직접관람은 물론 디지털 뉴미디어를 통한 간접관람에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유․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두 시기에 경험한 문화예술교육은 직접관람과 디지털관람의 가능성 및 횟수를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문화예술교육경험과 가구소득에 대한 교호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최근 문화예술교육경험이 있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디지털관람 횟수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업주부와 학생은 직접관람 횟수가 각기 유의하지 않거나 감소하지만 디지털관람에서는 관람횟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문화예술 향유에 관한 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문화복지 정책의 변화 관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New media driven by digital has rapidly changed the way that cultural content is supplied and consumed. However, the related research has rarely been performed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COVID-19 became an opportunity to enjoy culture and arts through the new media, while limit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t on-site. In the age of digital, new media has emerged as a major platform for culture and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cultural attendance through new media and on-site,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determinants. For this, we employ the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ZINB) model since some dependent variables are zero-inflated count data with many zero counts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main results of our study,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al experience in arts and culture have been turned out as major factors affecting attendance through new media as well as on-site. Especially,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childhood and adolescence,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access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both on-site and through new media. In addition,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last one year has the opposite resul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icipation on-site but decreasing through new media. More precisely, further analysis of regressions with the interaction term of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last one year and income level, showed that the higher the income and hav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e higher the number of attendance through new media. Our study raises the need for academic approach to the attendance of culture and arts through new media, and aims to provide changes of viewpoint in cultural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