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권자들 간 갈등에 대한 마인드셋의 차이가 2016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학생 유권자의 투표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적 갈등해석 마인드셋이 정치적 대립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투표 참여를 높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더 나아가 학습적 갈등해석 마인드셋이 투표 참여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권자들의 자유․평등 가치 지향 수준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회의원 선거일 전과 후 3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절된 매개 분석 결과, 본 연구의 가설들이 통계적으로 지지되었다. 유권자들의 학습적 갈등해석 마인드셋은 정치적 대립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투표 참여 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갈등해석 마인드셋과 투표 참여 행동 간의 관계는 정치적 대립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의해 매개되었다. 또한 이러한 매개 관계는 유권자의 자유와 평등의 가치 지향 수준이 낮을 때 유의한 반면 높을 때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갈등해석 마인드셋이 투표와 같은 정치 참여를 결정하는 유권자들의 심리적 매커니즘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인의 인지적 특성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flict mindset can influence voting participation in 2016 National election. The present research proposed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learning conflict mindset has an effect on the voting participation by affecting positive perspective on political conflict and the strength of the mediation effect is weakened by the value of liberty and equality. A two-wav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5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election day.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conflict mindse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voting participation via positive perspective on political conflict. Furthermore, the strength of the indirect effects of learning conflict mindset on voting participation through positive perspective on political conflict was weaker at higher levels of liberty and equality value than at lower levels of the valu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nflict mindset is important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in explaining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voting participation in national election.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