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재무코치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여 재무코치 양성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재무코칭과 관련 개념의 비교를 통해 재무코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재무코치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해 고찰한 후, 국내외 재무코칭 프로그램 및 재무코치 양성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기존 연구와 실무 현황을 파악하고, 해외 재무코치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개인재무관리 및 가계재무설계 영역에서 재무코칭의 활성화 및 발전 방향을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재무코치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상별로 학생, 자원봉사자, 실무전문가(기본/심화) 대상 4개의 과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 내용은 코칭 이론 및 코칭기술 습득, 직업윤리 및 계약수립, 재무지식 및 기술, 특수계층, 실습 사례발표 및 피드백, 지속적 지원 및 계속교육의 6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윤리 및 계약수립은 실무전문가 과정에만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 영역은 4개 과정에 모두 동일하게 포함하였다. 셋째, 교육대상별 교육 목표 및 교육 시간과 상세 내용은 대상에 따라 차별적으로 구성하였으며,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교육방법 및 상호작용 기반의 다양한 교육방식을 포함하여 교육의 효과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재무코치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장점은 대상별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점, 전문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재무코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재무지식 및 기술 영역을 강화하고 특수계층 영역을 신설했다는 점, 지속적 지원 및 계속교육을 통해 교육 참여자의 전문성을 유지하고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재무코치의 역량 고찰과 해외 사례분석을 통해 재무코치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핵심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국내 재무코치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기초연구로서의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이 전문 재무코치 양성과 재무코칭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uideline for training programs for domestic financial coaches, with the aim of presenting a standard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coach training programs. This has been achieved through the comparison of financial coaching and related concepts, reviewing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financial coaches, and by examining existing overseas financial coach training programs. Through case analysis of existing training programs we drew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to take in the development of a financial coach training program to support domestic personal and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contents of the derived financial coach training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program is divided by education target into four courses for students, volunteers, and practical experts at the basic and intensive levels. Second, the education topics of the program consist of six areas: coaching theory and coaching skills acquisition, vocational ethics and contract establishment, financial knowledge and skills, special class case presentation and feedback, continuous support, and continuing education. Vocational ethics and contract establishment included only in the basic and intensive courses for practical experts, and all other areas included in all four courses. Third, educational objectives, training hours, and details for each subject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target group, and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training are to be enhanced by both online and offline accessible educational methods. The advantages of the financial coach training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are that it provides differentiated training outlines for each target group, it reflects the the unique facet of high professionalism required for financial coaching, reinforce financial knowledge and in technical areas, and it includes a special class area for practicing case presentations. This newly established training program is designed to help maintain and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participants through continuous support and continuing education.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that derives the core components of a financial coach training program through a study of the capabilities of financial coaches and an overseas case analysis, and presents a systematic guideline for program for training financial coaches in Korea.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guideline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financial coaches and popularizing financial co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