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승용차 이용량이 많고 인구밀도가 높으며 국토의 면적이 좁은 한국과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도시부 교차로 최소간격을 설계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교차로 설계시 적용하고 있는 교차로 최소간격의 산정 방법은 설계속도와 차로수, 지역별로 구분된 “a” 상수의 곱한 값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도시부 교차로에서는 “a” 값을 1로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도시부 교차로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수치로, 판단시거를 활용하여 새롭게 개선하고자 한다. 교차로의 적정 최소간격 산출을 위해서 도시부 교차로 간격을 범위로 계산해 낼 수 있도록 “a” 상수의 값을 범위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여 교통현황을 조사하고, 판단시거가 적용된 “a” 상수 값을 도출해 낸 후, 국내․외 문헌고찰 및 비교연구를 통해 설계속도별 “a” 상수의 범위를 산정하여 현장조사 된 “a” 상수 값과 비교, 설계속도별 간격을 산출하였다. 도시부 교차로 설계시 적용되는 “a” 상수의 범위는 신호교차로에서는 1.00~2.75, 비신호 교차로에서는 1.00~2.13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현장조사 결과와 도출된 “a” 상수 값을 비교해 본 결과 “a” 상수가 적용되지 않은 교차로는 상습적인 정체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향후 도시부 교차로에서 문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a” 값은 향후 교통 및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부 교차로 간격 설계시에는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a” 상수의 범위를 적용하여 설계를 시행하는 것이 교통운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and Japan, due to the limited land space and high traffic density, there exists a design guideline for minimum intersection spacing. In Korea, a simple formula is used to determine intersection spacing by multiplying design speed, the number of lanes, and constant “a”. For urban areas, 1 is used as for the constant “a”. However, this method applying only one value of 1 is not relevant to accomodate various characteristics of urban intersections in different situations. This study suggests to apply some ranges for the constant “a”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intersections, not just using one specific value of 1, through adopting the concept of decision sight distances.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es, we found the ranges of “a” for different design speeds and the number of lanes. It is found that the range of constant “a” for signalized urban intersections varies from 1.00 to 2.75, and from 1.00 to 2.13 for unsignalized urban intersections. We also found that intersections with relatively short spacing show severe delays and poor level of services.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important factors in transportation engineering and urban planning. We also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ke traffic operation and urban intersection design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