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지난 2019년 화두가 되었던 디즈니 영화를 둘러싼 ‘정치적 올바름’ 논쟁을 살펴보고, 동시대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올바름’이 어떻게 상상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캡틴 마블>(2019), <어벤져스: 엔드 게임>(2019), <인어공주>(개봉 예정)에 대한 전문가 비평과 대중 반응을 함께 분석한 결과, 각각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찬성과 거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가 담론 속에서 ‘정치적 올바름’은 문화예술 생산자들이 반드시 추구해야 할 가치로 논의되었던 반면, 대중 담론에서 ‘정치적 올바름’은 영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으로 치부된다. 이때 ‘정치적 올바름’ 비판을 정당화하는 기제로는 페미니즘에 대한 반감, 팬들에 대한 기만, 역차별담론 등이 동원되었으며 그 논리적 귀결은 원작 근본주의와 예술 지상주의이다. 원작 근본주의 및 예술 지상주의는 문화 영역에서 촉발된 ‘정치적 올바름’ 논쟁이 반지성주의와 조우하게 되는 지점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정치적 올바름을 지지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정치적 올바름과 예술적 가치를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고 양자 사이에 위계를 상정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정치적 올바름이냐, 아니냐’ 또는 ‘도덕이냐, 예술이냐’와 같은 소모적인 논쟁에 일조하는 전문가 담론 역시 한계가 명백하다.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보수주의자들의 반격과 좌파들의 비판적 지지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우리는 다른 방식의 사유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정치적 올바름이란 무엇인지, 대중 예술에서 정치적 올바름의 활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첨예하게 고민하고 성찰할 때라야 비로소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over Disney films that became a hot topic in 2019, and critically discusses the way ‘Political Correctness’ is imagin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xpert criticism and public reactions to <Captain Marvel>(2019), <Avengers: Endgame>(2019), and <The Little Mermaid>(to be released), a certain difference was found in that each was mainly for and against Political Correctness. While ‘Political Correctness’ was discussed in expert discourse as a value that cultural and artistic producers must pursue, in public discourse, ‘Political Correctness’ was regarded as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value of the film. At this point, anti-feminism, deception against fans, and counter discrimination discourse were used as the basis for justifying the criticism of Political Correctness, and the logical conclusion was Original-fundamentalism and Art-groundism. Original-fundamentalism and Art-groundism are also the points at which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sparked in the realm of culture comes into contact with ‘Anti-Intellectualism.’ This is not because they do not support Political Correctness, but because they regard Political Correctness and Aesthetic as incompatible and place a hierarchy between those. In this regard, experts’ discourse, which contributes to consumptive debates such as “Political Correctness or not” or “Ethics or Aesthetics” is also limited. With conservatives’ counterattacks toward Political Correctness and critical support from the Left at odds, we argue that we need to elicit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sharply considering and reflecting on what Political Correctness is and how it should be used in popular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