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애착회피, 애착불안)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억제,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경남, 충청, 제주, 전라 지역에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척도, 분노표현척도, 사회적 지지척도, 자아탄력성척도를 활용해 수집된 자료를 본 연구목적에 맞게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가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애착불안은 역기능적 분노표현인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애착회피는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분노억제 및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애착회피와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회피와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voidanc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in, anger-out). A sample of 27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Adult Attachment Scale,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resiliency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significantly influence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ncluding anger-in and anger-out, whereas attachment avoida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both of all.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attachment anxie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irdly, ful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nger-in was significant. Lastly, full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nger-ou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