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생태위해성평가 시 활용하는 정량적인 생태독성자료는 국제적으로 신뢰성 있는 표준시험법에 제시된 세부 실험조건에 따라 수행되어야하나, 국제 생태독성 표준시험법 중 국내 서식종 비율은 단지 25.8%에 불과하다. 국외종 사용 시 생태계 교란 및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국내종의 독성민감도 및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국내 서식종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 서식종에 대한 기초적인 생태독성실험방법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수준으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 국내 서식종을 고려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서 생태독성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을도출하기 위해, 생물분류체계 내 담수 서식성, 국제적인 수서생태독성 표준시험법의 해당 여부, 국내 서식성을 중심으로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을 선별하였으며, 국내 생물종 목록,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 분포성, 독성연구사례 여부를 바탕으로 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의 특성 현황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수서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잠재적인 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동성을 가진 동물계에 한해 담수 서식 생물분류군 26개 강을 추출하였으며, 동물계, 식물계, 원생생물계를 대상으로 국제적인 표준시험법의 수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의 해당 여부를 확인하였고, 국제 수서생태독성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8개 강을 우선 선별하였다. 또한 국제 수서 생태독성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었으나 국내 자생생물이 포함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3개 강을 차선 선별하였다. 그리고 국내 생물종 목록,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 분포성, 독성사례 여부를 통해 11개 강 모두 잠재적인 수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최종적으로 동물계 6개 강(연갑강, 소악강, 환대강, 이매패강, 와충강, 히드라충강), 식물계 4개 강(윤조강, 물이끼강, 우산이끼강, 양치식물강), 원생생물계 1개 강(유글레나강)의 총 11개 강을 수서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으로 제안하였다.


Ecotoxicity data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were obtained according to test conditions presented i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However, only 25.8% of native organisms in Korea were included i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It is needed to consider native organisms in Korea as test species, in terms of toxicity sensitivity, domestic environment media, and economic cos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taxonomic classification system (Kingdom animalia, plantae, protista), based on Phylum or Division and Class. We investigated the habitat and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and Korean native organisms. As for animalia, 26 of Class was derived from the fresh water as habitat. Eight and three of Class were derived from the each criteria ’not included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and ’not included in Korean native organisms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With Korean native species list, taxonomic and ecological status, distribution, toxicity data, w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list for potential Korean native organisms (eleven of Class). This study proposes the candidate list of Korean native organisms to further develope ecotoxicity t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