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초중고등학교의 학교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학교체육시설 개방을 실현하기 위하여 1세대 CPTED 수준의 범죄예방 인프라 구축 수준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교육부가 주관한 CPTED 시범사업에 참여한 서울 소재의 21개교와 참여하지 않은 서울 소재의 21개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의회가 발표한 ‘서울형 학교 CPTED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운동장과 체육관의 안전사고 예방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6점 척도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각 학교의 운동장과 체육관을 관리하는 교사 혹은 학교시설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행정실 직원에게 설문에 대한 답을 하게 하였다. 이후 수집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test을 실시하여 CPTED 시범사업 참가유무에 따라 1세대 CPTED 수준의 범죄예방 인프라 구축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운동장과 관련된 12문항 중 외부인과 학생들의 운동장 통행로 분리(운동장7)와 비상벨/비상전화 설치유무(운동장8)를 묻는 두 개의 문항과 체육관과 관련된 8문항 중 출입문을 통한 시야확보 확보유무(체육관1)를 묻는 한 개의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PTED 시범사업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나름 오랫동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한 원인은 국내의 학교들이 ‘초등학교 시설계획’과 ‘중고등학교 계획설계 지침서’의 내용을 근거로 범죄예방 전략을 실천하고 있으며, 지침서의 내용이 1세대 CPTED의 기본원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에 진행될 시범사업 혹은 연구에서는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nsure whether schools are well equipped with first generat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especially when they are expected to open up their sport facilities for the use of the communit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1 schools in Seoul that participated in CPTED pilot projects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participant schools) and 21 Seoul-based schools that did not participate (non-participant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ix-point scale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School CPTED Guidelines in Seoul' released by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to identify the level of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playgrounds and gyms.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eachers/administrative staff in charge of playgrounds and gyms at each school. Afterwar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independent t-test revealed that only two items in playground and one item in gym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schools and non-participant schools. For the playground, participant schools had higher means in whether visitors and students had separate path to the playground. And they also had higher mean for the item on installation of emergency bell in the playground. For gyms, participants schools had higher mean in whether they had a visibility to the inside of gym through the 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