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1초량은 폐기능의 지표로 측정된다. 또한 흡연은 폐기능의 잘 알려진 위험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성에서 폐기능과 흡연의 관련성을 체질량지수와 나이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3,411명의 성인이다. 남성 1,411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통계 분석은 1요인 분산분석을 하여 집단 간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비만 여부에 따라서 대상자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를 연령의 중앙값인 55세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결과: 1초량 예측 %는 흡연자에서 비흡연자와 비교하여통계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P=0.024). 이러한 관련성은나이가 55세 이상인 대상자만 분석하였을 때 더 차이가 컸다(P=0.008). 또한 BMI가 25 이상인 대상자에서는 흡연 여부에 따른 1초량 예측 %에 차이가 없었으나, BMI가 25 미만인 대상자에서는 흡연 여부에 따라서 1초량 예측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9). 결론: 본 연구에서 흡연은 55세 이상인 남성과 BMI가 25 미만인 남성에서 예측 1초량 %와 관련이 있었다. 인과관계를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추후 전향적인 코호트연구가필요하겠다.


Background: Smoking is a known risk factor for decreasing pulmonary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lung function considering obesity and age group.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VII). A total of 3,411 adults were retrieved from KNHANES VII. Among 3,411 adults, we studied 1,411 male subjects. Impaired lung function was measured by spirometry at least twic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In this stud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the first second was associated with smoking status (P=0.024). The association was stronger in old subjects (P=0.008). Also, in the obese group, the association of lung function with smoking status was not significant, but the association was significant in the non-obese group (P=0.019). Conclusions: In this study, Smo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aired lung function. The association was stronger in old men and obese men. In order to obtain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pulmonary function values, further prospective cohort study in the future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