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시효된 복합레진 수복물에 이산화탄소 레이저로 표면처리한 경우와 기존의 여러 가지 표면처리 방법에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응력을 측정하여 비교하기 위함이다.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직경 6 mm, 두께 5 mm의 시편을 96개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을 인공타액에 침적시켜 37℃의 온도로 2주 동안 시효처리 하였다. 그 후 96개의 시편을 무작위적으로 16개씩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표면처리를 하지않았고, 2군은 37% 인산으로, 3군은 4% 불산으로, 4군은 입자 분사 연마로, 5군은 고속 다이아몬드 버로, 6군은 이산화탄소 레이저로 표면처리하였다.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응력을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양상을 관찰하였다. 버를 사용한 5군이 가장 큰 전단응력 값을 보였으며,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사용한 6군이 그다음으로 큰 값을 보였다. 버를사용한 5군과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사용한 6군은 나머지 표면처리 방법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전단응력 값을 보여주었다(p < 0.05). 또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을 통해 분석한 결과 레이저를 이용한 6군에서 표면이 가장 거칠었으며 불규칙한 요철구조가 형성되었다.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은 브라켓 접착시 적절한 결합강도를 제공하므로, 시효된 레진 수복물에 교정용브라켓을 접착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surface treatment methods on the shear bond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in vitro. Ninety six specimens, 6 mm in diameter and 5 mm in height, were made with composite resin (FiltekTM Z350XT, 3M ESPE, USA) and treated with an aging procedure. After aging, the specimens were randomly separatedin six groups: (1) control with no surface treatment, (2) 37% phosphoric acid gel, (3) 4% hydrofluoric acid gel,(4) sodium bicarbonate particle abrasion, (5) diamond bur, and (6) 1 W carbon dioxide laser for 5s. The metalbrackets were bonded to composite surfaces by means of an orthodontic adhesive (Transbond XT, 3M Unitek,USA). Shear bond strength values were evaluat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R&B Inc., Korea). Analysis of vari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Group 5 had the highest mean shearbond strength (11.9 MPa), followed by group 6 (11.1 MPa).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group 2 resultedin the weakest mean shear bond strength (5.22 MP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pair shear bond strength of the aged composite resin was acceptableby surface treatment with a carbon dioxide la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