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전남 소재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조직몰입, 소진과 이직의도의 차이에서 교육정도, 직위, 근무경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 간에는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인 인지와 행위 모두 조직몰입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소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서는 행위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셀프리더십을 간호 분야에 적용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조직적 차원에서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고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는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nurs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with more than 300 beds in South Jeolla province. The findings showed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ducation, position and work experie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immers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has shown that both recognition and behavior, a sub-area of self-leadership,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mpact on eburnout. The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showed that only behavior had a negative impa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pplied the leadership that has recently emerged to the field of nursing to verify its influence. In the future, various methods of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that can measure and foster leadership of members at an organizational level are needed to be stud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