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가치 지속을 통한 전이 지원의 미래 방향을 고찰해보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써,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연계(이하 유·초 연계)에 관련된 연구의 동향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체연도 검색으로 수집된 관련 논문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NetMiner 4.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한 후, 키워드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의 제목인 유·초 연계의 맥락 속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어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초 연계’ 키워드를 포함한 경우와 제외한 경우로 빈도분석을 나누어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육과정’이 출현 최상위 키워드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교육’과 ‘언어교육’이 출현 상위의 키워드로 등장했다는 점도 눈에 띄는 결과였다. 이는 유·초 연계 분야에서 교육과정 연계에 관한 연구 및 전이시기 기초 수리력과 기초 문해력의 필요성을 반영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키워드 네트워크 맵 시각화 결과는 ‘교사’-‘유치원’-‘초등학교’-‘교육과정’-‘내용’ 키워드 순서로 횡적 배치된 단어들이 네트워크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내용’ 키워드와 높은 연계성을 보이는 키워드는 ‘평가’와 ‘개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키워드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도 ‘교육과정’이 최상위 중심성을 보인 단어였다. 유아교육 고유의 가치를 지속하면서도 만 5세 유아들의 안정적인 학교 전이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체적 내용 및 평가지침 개발의 필요성과 유·초 연계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활성화를 제언하고자 한다.


As a preliminary work to consider future suggestions for sustaining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ran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e continuity via text network analysi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elevant field.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key words in the contex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compared each result of the word frequency analysis between two cases including and excluding the research title, through the NetMiner 4.5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urriculum’ was revealed as the highest-ranking keyword, and ‘math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appeared also as high-ranking keywords.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reflection of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pre-numeracy and pre-literacy skills in the transition. Through the keyword network map, keywords were confirmed to be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order of 'teacher'-'kindergarten'-'elementary school'-'curriculum'-'content'. Finally, in the results of the centrality analysis, ‘curriculum’ appeared as the word with the highest centrality. Therefore, further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and assessment guidelines in the national curricula and the support to enhance pedagogical practices for teachers are need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