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1910년 전후 한국 근대여행의 한 기원을 살펴봤다. 먼저, 근대적 여행주체는 중세·개화기의 여행주체와 달리, 외부세계를 무관심하고 냉담하게 대상화함으로써 스스로의 내면을 탐구하며 여가를 즐기는 탈(脫)일상적·유희적 존재였다. 그는 자신의 시선을 외부세계에서 자기 자신에게 돌리고, 무료하면서도 여가를 즐기고 노는 자였다. 그리고 근대적 여행객체는 여행주체에 의해서 기존의 역사적·문화적 의미를 잃고서 균질적·물리학적인 하나의 실체로 발견되고, 주관화·자의화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았다. 여행주체에 의해서 역사적·문화적 의미가 전유·은폐됐고, 그의 내면이 투영된 새로운 기의를 지니게 됐다. 마지막으로 기차·관광단 등의 근대적 여행매체가 거리와 구경이라는 여행의 근대적 스타일을 창조하는 인식론적인 변화를 살펴봤다. 기차·자동차 등의 근대적 여행매체는 여행의 주체·객체 사이에 일정한 물리적 거리를, 그리고 관광단이라는 근대적 여행매체는 일정·코스를 통해 역사적·문화적인 시공간이 분할된 구경이라는 근대여행의 스타일을 만들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origins of modern travel in Korea around 1910. Looking at the history of research so far, it is true that modern travel (tourism) in Korea began in earnest in the 1910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transportat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Joseon branch of the Japan Travel Association. The problem is how the three elements of modern Korean travel, subject, object, and media, appeared in the modern epistemological field. First, unlike the traveling subjects of the Middle Ages and the Enlightenment period, modern traveling subjects were non-daily, playful beings who explored their inner self and enjoyed leisure by objectifying the external world indifferently and callously. And the modern travel object lost its existing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nd was discovered as a homogeneous and physical entity by the travel subject, and was given a new subjectivized and automatized meaning. Lastly, we looked at the epistemological changes in which modern travel media such as trains and tour groups create a modern style of travel called distance and sightseeing. Modern travel in Korea refers to the formation of the modern travel subject around 1910, the travel object being seen as a homogeneous and physical entity and given a new meaning of attention and self-identification, and the travel media being distance and sightse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