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모의 구조제공 및 비일관성과 청소년의 협동심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와 청소년의 그릿이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중학생 1학년 2,253명 및 해당 부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구조제공 및 비일관성은 청소년 자녀의 협동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구조제공 및 비일관성은 부모와 청소년의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구조제공 및 비일관성과 청소년의 협동심간의 유의미한 관계에서, 부모 및 청소년의 그릿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부모의 구조제공과 청소년의 협동심의 유의미한 관계에서, 부모 그릿에서 청소년 그릿으로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부모의 비일관성과 청소년의 협동심의 유의미한 관계에서, 부모 그릿에서 청소년 그릿으로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청소년의 협동심을 강화하기 위한 부모양육태도 및 그릿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부모가 가져야할 올바른 양육방식 및 삶의 방식을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finding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provision of rescue and inconsis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operation of adolescent children.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rescue provision and inconsis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al and adolescent grits. Third, i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cue provision and inconsistency and adolescent cooperation, parental and adolescent grits each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from parental grit to adolescent grit was confirmed i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cue provision and adolescent cooperation. Fifth, i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consistency and adolescent cooper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from parental grit to adolescent gr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grits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of adolesc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and to provide a way to educate parents on the correct parenting and lifestyle they should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