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주도하는 진로탐색 교과목 구성 및 참여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가 주도하는 현장중심의 진로탐색 사례를 도출하여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교과목을 신청한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주도하는 진로탐색교과목의 구성은 ‘인식단계: 예비유아교사의 진로 고민’과 ‘계획단계: 학생-교수자-현장 간 소통과 협력을 통한 유연한 수업설계’의 과정을 거쳤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주도하는 진로탐색 교과목에의 참여 경험은 ‘몰입단계: 진정한 ‘유아중심’이해 및 수용하기’, ‘실행단계: 나의 경험이 만드는 ‘교사’라는 미래’, ‘평가단계: 자율성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반성과 성장’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예비유아교사가 주도하여 계획-운영-평가를 진행한 수업 사례로서의의미가 있다는 점, 유치원과 어린이집과 소통하며 현장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 및실행해 본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개인차를 고려한 진로탐색 과정을 탐구하고, 졸업 후첫 해 적응 시기에 적합한 진로탐색이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by deriving field-oriented career exploration cases led by pre-service teachers by exploring the composition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career exploration courses led by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 of career exploration courses led by pre-service teacher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tion stage: career concer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planning stage: flexible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student-professor-sit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eco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areer exploration courses led by pre-service teachers was ‘absorbed stage: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rue infant-centered', ‘implementation stage: the future of 'teacher' made by my experience', and‘evaluation stage: reflection and growth for enhancing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is an example of a class led by a pre-service teacher and that the experience of reorganizing and executing the class by communicating with the field helps to improve th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teacher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Pre-service Teachers, Learner Initiative, Career Exploration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