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청각 자료 형태와 기능의 변천사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언어 교육 기관 세 곳의 교재 12종 78권을 대상으로 하였고 체크 리스트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은 엑셀에 보관되고 관리되었다. 청각 자료의 형태는 아날로그 유형에서 디지털 유형으로, 오프라인 방식에서 온라인 방식으로 시대에 맞게 바뀌어 왔다. 반면 그 기능은 소리 입력으로 동일하였다. 새로운 시도를 한 경우에도 다시 과거로 역행되거나 특정 급에 국한되었다. 무엇보다 최신 교재의 청각 자료는 큐알 코드 형태이나 음원 파일 이상의 기능을 하지 않았다. 이에 문제 제기를 하며 시청각적 쓰임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플랫폼을 그대로 이용하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는 방법과 메타버스 교실로 확장하는 방법이 가능하였다.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교육 효과가 예상되었다. 본고에서는 교재론 연구에서 주변적 논제였던 교육 자료 활용에 대해 논하였고 그간 관심 받지 못한 청각 자료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history of the form and function of audio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78 textbooks of 12 types from three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nalyzed using a checklist. The analyzed data were stored and managed in Excel. The form of auditory materials has changed from analog to digital and from offline to online according to language teaching approaches,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On the other hand, their function was consistent with sound input. Even when new attempts were made, they were either regressed to the past or limited to a specific level. Above all, the audio materials of the latest textbooks were provided as the form of a QR code, but did not function as a multimedia. Pedagogical applications were suggested in regard of utilizing audiovisual use. One was to use the current platform as it is but utilize visual elements, and the other was to expand into a metaverse classroom. Educational effects were expected in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In this paper, the use of educational materials, which has been a peripheral topic in textbook research, was discussed. Auditory data that has not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was analyz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