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임팩트 비즈니스의 특성을 고려한 비즈니스 모델의 설계와 사례연구를 통해서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임팩트 비즈니스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사업 유형으로 2007년 록펠러 재단이 임팩트 투자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유래하였다. 임팩트 비즈니스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겪고 있는 사회문제 혹은 환경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며, 이해관계자의 적극적 참여가 이루어진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임팩트 비즈니스 모델의 설계 시에는 기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이고 이해관계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기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구성요소들을 참고하여 해결과제, 이해관계자, 가치제안, 가치창출, 가치획득을 구성요소로 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여타의 비즈니스와 달리 임팩트 비즈니스는 이해관계자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 모델을 “이해관계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연구에서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 프레임워크로 하여 국내 인구감소지역의 소농 및 소상공인의 하락한 경제적 지위의 회복을 사업목표로 창업한 ㈜미스터아빠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기업은 전국 단위 소분/물류 센터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IT 플랫폼 기술을 핵심자산으로 하여 산지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산지의 수요자에게 공급하는 유통직선화와 소상공인의 디지털전환 지원을 통해 소농과 소상공인이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창업 3년 만에 300억 매출과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라는 경제적 가치를 실현하였다. 본 연구는 임팩트 비즈니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차별화된 이해관계자 중심의 임팩트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고, 임팩트 비즈니스의 전형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기업을 발굴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연구에서 제시된 비즈니스 모델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business model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impact business and to analyze practical case, thereby providing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mpact business aims to address social or environmental issues faced by various stakeholders and are characterized b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se stakeholders. By referencing components of business models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we designed a business model with the following components: problems to be solved, stakeholders, value proposition, value creation, and value capture. Given the importance of stakeholders’ roles in impact businesses, we have termed this model the “stakeholder-centric business model.” Using the proposed business model as an analytical framework, we examined the case of Mr. PAPA Co., Ltd., a company established with the business goal of restoring the declining economic status of small farmers and micro-entrepreneurs in regions with decreasing populations in Korea.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the concept of a stakeholder- centric business model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business models by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mpact businesses. Furthermore,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by identifying a company that has achieved typical outcomes of impact business and verifying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business model through a case stud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Sustainability, ESG, Impact Investment, Stakeholder-centric Business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