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조르조 아감벤의 ‘벌거벗은 생명’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문학에 재현된 생명정치의 양상과 벌거벗은 생명의 자기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말미암아 전 세계의 모두가 빠짐없이 예외상태를 경험하는 극단적인 상황을 거쳤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생존을 이유로 일상에서 수많은 희생을 방관했고, 당연히 여겼다. 전 세계가 경험한 이 역사적인 현상은 단지 일시적인 특수한 상황이라 보기 어렵다. 생명정치와 비식별성에 관한 논의는 일찍이 이루어졌으나, 현대 사회에서 생명정치는 더욱 첨예하고 인지하기 어려운 양상을 취하고 있어, 현실에서 이를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문학에 재현된 ‘벌거벗은 생명’을 마주함으로써 개별 자아에 대한 탐구와 호모 사케르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은형의 『레이디 맥도날드』는 미디어를 통해 알려진 ‘맥도날드 할머니’의 삶을 모티브로, 거리에서 생활하는 비전형적인 노숙인 ‘김윤자’의 삶과 그를 향한 주변 인물들의 시선을 다루고 있다. 작품의 주인공인 ‘김윤자’는 제도와 관습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인물이다. 작품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벌거벗은 생명의 주체성을 깊이 들여다보고자 했으며, 주인공과 주변 인물들의 인식과 그들 사이의 관계 맺기를 통해 개인들의 연대를 통한 주권 권력으로부터의 해방과 주체성 회복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의식적으로 사고하지 않으면 주권 권력에 의한 통제에 자연스럽게 예속될 수밖에 없고, 이를 인지하지도 못한 채 자발적으로 자신을 착취하고 더욱 파괴적으로 구조에 복종하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사유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life politics reproduced in literature and the self-awareness of naked life, focusing on Giorgio Agamben's concept of 'bare lif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everyone in the world went through an extreme situation in which exceptions were experienced. In this process, we have made numerous sacrifices in our daily lives for survival reasons and took them for granted. This historical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world is difficult to say as a temporary special situation. The discussion of biopolitics and de-identification took place early, but in modern society, biopolitics is sharper and more difficult to recognize,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in reality. Therefore, I would like to explore the individual self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being a homo sake by facing 'a bare life' reproduced in literature. Han Eun-hyung's 『Lady McDonald's』 deals with the life of Kim Yoon-ja, an atypical homeless man living on the street, and the eyes of people around him. Kim Yoon-ja, the protagonist of the work, is a person who is completely free from institutions and customs. Focusing on the characters of the work, it attempted to examine the subjectivity of naked life deeply,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iberation from sovereign power and restoration of subjectivity through individual solidarity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protagonist and surrounding characters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them. If you don't think consciously, you're bound to be naturally subjugated to the control of sovereign power, and a vicious cycle occurs in which you voluntarily exploit yourself and submit to the structure more destructively without even being aware of it. Therefore, the power to think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existence, and education to cultivate that power, are essential. It is expected that readers will be able to experience recognizing and internalizing their identity and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internalizing the naked life reproduced in literatur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Bare life, Homo-sacer, Biopolitics, Exceptional Status, Subjectivity, Self-identity, Lady Mcdona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