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성진의 또 다른 자아, 양소유를 중심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사랑의 작동원리와 방식을 고찰하고, 거기에 투영된 인물 형상과 작품의 세계관을 재조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작품에 녹아든 감정의 복잡성을 포함해 인물의 심리와 행동 기저를 밝히고 사랑의 개념과 태도를 읽고자 한다. 양소유의 감각, 마음, 감정, 기억, 행동 등의 조각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랑의 작동원리와 방식을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그는 감각계와 호기심에 이끌려 사랑의 대상을 발견하고 새로운 감각 경험에 도달한다. 감각계와 배후 감정은 사랑의 기폭제로 작용하거나 인식의 변화, 낭만적 이끌림, 의사소통, 고차원적 이해의 기반이 된다. 사랑의 대상을 발견하기 전후의 감각과 정서는 팔미인의 성향과 유사하며 각기 다른 사랑의 세계를 조형해낸다. 사랑은 빠르고 강렬하며, 진행 속도와 의사 결정도 신속하다. 복잡한 연애사를 가진 인물이지만, 가벼운 연애가 아닌 지속 가능한 관계를 추구한다. 사랑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거나 대결을 펼치기도 한다. 경험 가소성의 원리는 사랑의 타이밍을 앞당기고 옛정과 옛일이라는 과거 기억은 사랑의 진실성을 증명하거나 재점화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열정적 사랑도 시간과 운명 앞에서 옅어지고 바뀐다. 사랑의 성취는 완벽한 부부관계로 표현되지만, 말년에 이르러 주의 대상과 과제 전환이 일어나면서 이들의 관계는 새로이 재정립된다. 사랑의 탐험 과정에서 드러난 양소유의 감정과 행동은 인물 형상과 작품 전반에 흐르는 세계관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호방한 풍류재자, 영웅호걸로서 양소유는 때로 사적 감정에 사로잡혀 조급하며 때로는 옹졸하고 소심하다. 하지만 사랑을 쟁취하고 지킬 때는 강한 투사로 변모하는 등 무모할 정도로 대범하다. 한편, 일부다처제라는 남성 중심 세계관을 완성한 인물이지만, 역설적으로 여성의 능력을 인정하고 가치를 재발견하는 모습을 보인다. 비록 시대적 한계는 끝내 벗지 못했지만, 결이 다른 인물 형상의 공존과 충돌하는 세계관의 양립을 통해 인간 이해의 깊이와 통찰력을 드러내준다. 사랑은 에로스를 넘어 열정, 신의, 책임, 존중, 인정 등에 토대하여 구성되고, 여성은 그에게 정서적 안정과 의지, 심리적 애착 대상으로 자리한다. 더불어 사랑은 삶의 흥(興)이자 자신의 권리인 동시에 지켜내야 할 책임의 개념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자기중심적 사랑으로 바깥이 아닌 자기를 향한다. 이처럼 17세기 출현한 <구운몽>은 인지심리적 요소와 원리에 바탕을 두어 인간 이해의 확장과 성찰의 가능성을 열어준 텍스트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ng principles and mechanisms of love in The Nine Cloud Dream (Guunmong), focusing on the character Yang So-yu, who serves as another self of the protagonist Seong-jin. By analyzing fragments of Yang So-yu's sensory experiences, emotions, memories, and actions, the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intricate emotional undercurrents embedded in the text and shed light on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oundations of the characters, particularly their con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love. Yang So-yu is initially portrayed as discovering objects of affection through sensory perception and curiosity, leading to new sensory experiences. His sensory system acts as a catalyst for love, driving shifts in perception, romantic attraction, communication, and deeper understanding. The pace of love is swift, its intensity strong; his body and mind respond quickly, making decisions and forming preferences based on personal beliefs and will. Despite his complex romantic history, Yang So-yu seeks enduring relationships rather than casual love. At times, he takes risks or faces conflicts to assert his right to love, underscoring his commitment to the sustainability of his relationships. The principle of experiential plasticity accelerates the timing of love, with memories amplifying his feelings and extending his emotional connections to women. However, even such passionate love fades or transforms over time and with changes in fate. Love culminates in an ideal marital relationship, but later in life, shifts in focus and priorities reconfigure the dynamics of male-female relationships, introducing another dimension. Yang So-yu's birth and eventual dissolution follow the trajectory of love’s beginning and grand finale. Yang So-yu’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roughout his journey of love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 characterization and underlying worldview of the work. As a heroic and free-spirited scholar, he occasionally succumbs to personal emotions, showing impatience and at times a narrow-minded or timid nature. While his acceptance of polygamy reflects a male-centered worldview, he paradoxically recognizes and re-evaluates the abilities and worth of women, revealing a perspective rooted in human equality and respect. Emerging in the 17th century, The Nine Cloud Dream offers opportunities for both expansion and introspection in understanding humanity, grounded in cognitive psychological principles. In this light, The Nine Cloud Dream can be regarded as an aesthetic text that masterfully captures and unravels the complex emotions of human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