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춘천시와 아디스아바바시의 교류를 사례연구로 한국 지방정부의 공공외교를 소개하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기존의 지방정부 공공외교는 지방외교의 목표에 대한 상이한 인식과 지향, 공공외교의 잠재력에 대한 과소평가, 학계의 무관심과 편향성 때문에 미비하고 단순한 평가를 받고 있었다. 하지만 춘천시와 아디스아바바시의 교류협력은 지방정부 공공외교의 모범사례로 자매결연 및 우호교류 체결을 양적으로 확대했던 지방외교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첫째, 지방정부 공공외교의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발휘하고 있다. 둘째, 춘천시의 공공외교는 타 지방정부 뿐 아니라 한국의 중견국 외교에 입각한 공공외교에도 교훈을 준다. 셋째, 춘천시와 아디스아바바시의 교류는 글로컬 연구의 중요사례로 학계에 관심을 촉발하고 로컬평화에 일조한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public diplomacy of Korean local governments and explored possibilities using the exchange between Chuncheon City and Addis Ababa City as a case study. Existing local government public diplomacy was receiving a poor and simplistic evaluation due to different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regarding the goals of local diplomacy, underestimation of the potential of public diplomacy, and academic indifference and bias. However,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Chuncheon City and Addis Ababa City is an exemplary example of local government public diplomacy, showing new possibilities in local diplomacy that has quantitatively expanded sisterhood ties and friendly exchanges. First, it is complementing the weaknesses of local government public diplomacy and demonstrating its strengths. Second, Chuncheon City's public diplomacy provides lessons not only for other local governments but also for public diplomacy based on Korea's middle power diplomacy. Third, the exchange between Chuncheon City and Addis Ababa City is an important example of glocal research, sparking interest in academia and contributing to local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