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한국의 다양한 사회적, 국가적 요구를 반영하여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의성장을 새 교육목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목적을 교육목표 설정, 내용의 선정과 조직, 교수법 및 평가 방식 결정에 있어 핵심 기준으로서 위치시킨다. 하지만, 최근 교육학계에서는 교육목적의 근대적 인식론을 비판하는 논의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목적 중심 교육과정, 주체화 교육이론 및 ‘하나의 세계 이상’ 지리학을 참조하여, 2022 개정 지리교육과정에 내재해 있는 교육 목적 담론의 종류와 이의 재현 양상에 대해 논의한다. 비판적 교육과정 분석틀(CCAF)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개정 지리교육과정이 네 개의 인식론적 장치들을 통해 어떻게 서구 중심의 세계와 연결된 교육목적결합을 강화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동시에, 자기 참조적이고 순환적 교육과정 틀에 의해 학생들이 어떻게 세계 속에서 수동적객체로 고정될 수 있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끝으로, 보다 교육적인 지리교육(지리-주체화)를 위해 고려할 요소들을 교육정책, 교육내용, 교수법을 중심으로 간략히 제안한다.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troduces the new educational aim of fostering ‘inclusive and creative student agency’ in response to diverse societal and national demands in South Korea. The revised version positions this educational aim as the central criterion for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selecting and organizing content, and determining pedagogical and evaluation strategies. However, there has been a surge in criticisms against the modern epistemology underlying these aim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types and articulations of educational aim discourse inherent in the geography curriculum by referencing works on educational aim-based curriculum, subjectification education theory, and more-than-one-world geography theory. Using the Critical Curriculum Analysis Framework, the study demonstrates the ways in which the geography curriculum reinforces the nexus between educational aims and a Western worldview through four epistemological devices. Simultaneously, it reveals the ways in which students can be positioned as passive objects in the world regulated by a self-referential curriculum framework.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a more educational geography(GeoSubjectification), with a focus on educational policy, content, and pedag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