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제네바협약 제34조에 따르면 충돌 당사국은 적군의 시신이라 하더라도 존중해야 하고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신원을 확인해 유해와 유물을 본국으로 이송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한국전쟁 이후 중국군 유해 발굴과 봉환은 휴전 협상이나 인도적 차원 외에도 현재의 정치적 고려에 따라 중단되거나 재개되면서 오늘에 이른다. 중국의 인해전술에 맞서 거둔 유엔군 최초의 승리였던 지평리전투는 미국에서는 군사학 교과서에 실렸을 정도로 모범적 전투로 회고되나 중국은 1990년대에야 이 전투에서의 패배를 공식화했다. 이 논문에서는 지평리전투에 관한 한국의 문화기억을 살펴보고 전사자 추모와 중국군 유해 발굴에 얽힌 죽음정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폭력과 복수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 죽음정치와 죽음경제를 넘어 적의 죽음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를 논한다.


According to Article 34 of the Geneva Conventions, the remains of persons who had died as a result of hostilities shall be respected and returned to the country upon its request or upon the request of the next of kin. However, after the Korean War, the excavation and repatriation of Chinese troops’ remains has been suspended or resumed due to current political considerations in addition to ceasefire negotiations and humanitarian considerations. The Battle of Jipyeong-ri, which was the first victory for the United Nations forces against human wave attack by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is considered an exemplary battle in the United States, but it was not until the 1990s that China officially announced its defeat in the battle. This paper examines Koreans’ cultural memory of the Battle of Jipyeong-ri and critically analyzes tributes for the fallen and the necropolitics related to the excavation of Chinese troops’ remains. To break the chain of violence and revenge, I would like to discuss how to remember the deaths of the enemy beyond the necropolitics and the necro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