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문초록】 한국 10대 암 환자의 정신장애 관련 기초 분석 박 미 량ㆍ김 경 나 연구 목적: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 10대 암 환자들의 정신장애에 대한 기초통계분석을 통하여 성인기 암 환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2018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통계분석하였고, 총 302,580명 자료 중 대상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서울(63,382명), 경기(55,174명)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들 중 우리나라 10대 암에 해당하는 악성 신생물(암) 질병 코드가 입력되어져 있는 17,63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내용: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연구대상자의 병원 소재지는 서울과 경기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서울과 경기지역 병원 소재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둘째, 성별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으며, 남성과 여성의 10대 암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셋째, 10대 암 환자들은 고령일수록 많았으며, 연령대별 10대 암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넷째, 10대 암 환자들의 한국질병·사인분류에 분류된 정신장애 관련 특성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및 제언: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10대 암 환자들의 인구사회학적, 정신장애 특성 및 의도적 자해 시도 등을 파악하여 환자들의 정신건강 증진 지원을 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핵심어: 암 환자, 암 유형,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 정신 병리 및 장애, 정신건강
A Basic Analysis Study of Top 10 Cancer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Mirang Park* & Kyeongna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mental health improvement among top 10 cancer types by conduct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of cancer patient data. The study analyzed 2018 Korea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Among 302,580 total patients, Seoul (63,382 patients), Gyeonggi-do Province (55,174 patients) were selected as the top two cities where most of the hospitals were located. Among these patients, 17,637 patient data with coding of national top 10 cancer data finally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is study proposed four result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hospitals in these two cities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p<.05). Second, there were more male cancer patients compared to female cancer patient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patients (p<.05). Third, the proportion of cancer patients was higher among the elderly adult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s (p<.05).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ntal disorder groups (defined by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p<.05). The study analyzed sociodemographic factors, mental health disorder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attempt among top 10 cancer patients to provide efficient mental health assistance. Key Words: Cancer Survivors, Top 10 Cancer Types, Mental Disorder,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Mental Health □ 접수일: 2024년 12월 10일, 수정일: 2024년 12월 22일, 게재확정일: 2024년 12월 28일* 주저자,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BK21 사업단 연구교수(First Author, Professor, Jeonbuk National Univ., Email: mipark0723@jbnu.ac.kr) ** 교신저자, 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부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osin Univ., Email: kkn@kosin.ac.kr)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Key Words: Cancer Survivors, Top 10 Cancer Types, Mental Disorder,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