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산림치유 처방을 도입하기 위한 범위와 적용방안을 탐색 한국의 산림치유 처방 시스템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산림복지 및 치유, 보건 및 의료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FGI)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산림치유 처방의 개념은 의료인의 개입을 통해 환자에게 산림과 자연을 매개로 한 건강 중재 활동을 처방하여 건강증진, 재활 및 회복하고, 적용 범위는 건강증진, 정신건강 개선, 만성 질환 관리가 도출되었다. 이를 위해 건강증진 영역과 지역 사회 모델, 1차 의료 영역과 임상 모델의 전달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산림치유 처방 적용방법으로는 대상 인구와 질병에 적합한 산림치유 처방에 대한 프로토콜 개발, 표준화된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역량 강화,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관리, 산림치유 처방과 의료 커뮤니티 간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구축, 접근성 개선 및 디지털 기술 사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형 산림치유 처방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d the scope and application of forest prescribing in Korea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forest healing prescribing system in Korea. The study subjects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experts in forest welfare and therapy health and medical professional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oncept of forest therapy prescription promotes health, rehabilitates, and recovers by prescribing health intervention activities through forest and nature to patient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medical personnel. As for the scope of application, health promotion, mental health improvement,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were derived. Thi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delivery systems in health promotion and community models, primary health care and clinical models. Second, the application of forest healing prescriptions included developing protocols for forest prescriptions appropriate to the target population and disease, developing standardised programmes, strengthening professional capacity, monitoring and managing programmes, establishing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forest prescribers and the medical community, improving accessibility, and using digital techn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application of forest prescribing in Korea.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Forest Therapy, Health Promotion, Nature Pr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