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형학 연구는 다언어적 측면에서 인류의 언어를 관찰하므로 중국어 중간 언어 어휘 연구에서 어휘 혼용의 영향 요소를 판단하려면 중국어와 모국어를 비교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언어의 비교도 수행되어야 한다. 다언어 비교는 모국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정확성과 적합성을 판단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된다. 본 문장에서는 중국어 중간 언어 말뭉치를 통해 시간 개념을 표현하는 형용사 ‘晚/迟’와 속도 개념을 표현하는 ‘慢’은 CSL 학습자가 혼동하기 쉬운 단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CSL 학습자의 어휘 혼용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어휘 유형학 이론을 바탕으로 형용사 ‘晚/迟’, ‘慢’에 대한 다언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표현론(onomasiology) 시각과 해석론(semasiology) 시각에서 6개 언어 중 ‘晚/迟’, ‘慢’개념의 어휘화와 의미 확장 시스템을 다언어로 비교한 뒤 이를 바탕으로 이들 단어 혼용의 영향 요인을 탐구하였다. 연구에서 언어별 시간을 표현하는 개념인 ‘晩/遲’와 속도 개념인 ‘慢’의 어휘화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는데, 이는 언어별 인지 방식과 개념화 방식의 규칙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의미 확장에서 공통된 의미 관련 모델은 인류의 인지적 공통성을 반영하며, 서로 다른 의미 관련 모델은 언어의 인지적 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단어의 복잡성은 학습자의 혼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다언어 비교를 통해 서로 다른 학습 집단의 어휘 혼용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맞춤형 교육을 위한 참고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Typological studies observe human languages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In research on Chinese interlanguage vocabulary,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word mixing, we should not only compare Chinese with native languages, but also make cross-linguistic comparisons. Multi-language comparison is more conducive to judging the accuracy and relevance of the influence of native languages. Based on the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this study found that CSL learners frequently confuse the adjectives ‘晚/迟’ (related to temporal concepts) and ‘慢’ (pertaining to speed concepts).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causes, this paper conducts a cross-linguistic study of these adjectives, basing on lexical typology theory. The article compares the lexicalization and semantic extension systems of the concepts late and slow across six languages from the perspectives of onomasiology and semasiology. Following this comparison, it delves into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ixing of these words. The study found that the lexicalization of the temporal concept late and the speed concept slow varies across different languages, revealing regularities in cognitive and conceptualization patterns across linguistic systems. The common semantic association patterns in semantic extension reflect the cognitive universality of human beings, while the different semantic association patterns embody the cognitive individuality of languages. The complexity of these words in the lexical semantic syst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ers' mixing, and cross linguistic comparisons can provide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word mixing among different learning groups. This study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and reference for targeted teaching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