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의 내용을 유교적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 교육사상은 삼국시대 이래로 유교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교육의 목적은 유교의 인도주의에 입각한 이상적인 인간상인 군자(君子)의 확립에 있었다. 현대사회에서는 핵가족화와 산업화 등으로 인하여 가정의 기능이 약화됨으로써, 가정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덕성교육이나 사회성교육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 인간의 인격적 완성은 학교교육 이전에 가정교육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무엇보다도 가정교육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통 가정교육의 내용을 고찰함은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가정교육의 역할 회복과 함께 참된 인간상의 형성이라는 교육의 목표 설정에 이론적․실천적인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가정교육의 내용을 유교적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 교육은 삼국시대 이래로 유교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교육의 목적은 유교의 인도주의에 입각한 이상적인 인간상인 ‘군자(君子)’의 확립에 있었다. 현대사회에서는 핵가족화와 산업화 등으로 인하여 가정의 기능이 약화됨으로써, 가정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덕성교육이나 사회성교육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한 인간의 인격적 완성은 학교교육 이전에 가정교육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무엇보다도 가정교육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통 가정교육의 내용을 고찰함은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가정교육의 역할 회복과 함께, 참된 인간상의 형성이라는 교육의 목표 설정에 이론적․실천적인 근거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회 가정의 특성과 한국 전통교육 내용의 유교적 특징을 살펴본 후, 유교사상이 우리 전통사회에 일반화되었던 조선조 중기 이후를 주된 대상으로 하여, 전통 가정교육의 내용과 그 유교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전통 가정교육에서는 교육의 정서적 측면을 중시하여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었고, 엄부자모(嚴父慈母)와 같이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자녀의 조화로운 인격형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절위주의 실천적인 교육을 통한 덕성교육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덕성교육의 지향을 위한 반복적인 실천학습은 가정과 사회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정확히 인식하는 사회성을 기르게 할 수가 있었다.
This article studies the nature of traditional home education in Korea as seen from the Confucian aspect.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with Confucian ideas at its center. The goal of such education was to establish an ideal man of virtue based on Confucian humanism. In the modern society, the kinds of education that ought to be provided at home such as on morality and sociality are not being properly carried out as the function of family withered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move towards nuclear family. Of all things, however, the role of home education has to be emphasized since the accomplishment of a man's personality is formed through home education prior to school education. From this standpoint, studying the nature of traditional home education can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goal of forming the image of true man, along with help restoring the role of home education much needed in the modern society.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in traditional society and Confucian features in traditional education. Then it studies the nature and Confucia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me education with main focus on the period after mid-Choson dynasty when the Confucianism became widespread. In the traditional home education, great importance placed on emotional education led to the emphasis on the role of parents, with education commencing at the prenatal stage. In addition, parents played mutually supplemental rol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stern father and affectionate mother, aimed at forming harmonious personality of a child. As for the methodology, practice-based courtesy and moral education was pursued. Repeated learning by practice intended for such moral education enabled children to cultivate their sociality with proper perception of their role at home and in societ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Sohak(小學), Sasojeol(士小節), Confucian features in traditional education, stern father and affectionate mother, practice-based courtesy and mo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