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중도탈락의도를 가진 대학 태권도 학생선수의 현상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태권도 활동을 지속하며 중도탈락의도를 가진 대학 태권도 학생 선수 6명이다.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 전화 인터뷰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중도탈락의도를 가진 대학 태권도 학생 선수는 중도탈락의도를 가지지만, 태권도 활동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 태권도 학생 선수의 중도탈락의도 원인은 ‘반복적인 일상’, ‘새로운 활동에 관한 호기심’, ‘부상’, ‘미래의 불안함’이다. 다음으로 중도탈락의도를 가진 대학 태권도 학생 선수 활동 지속 원인으로 ‘졸업을 위한 참여’, ‘부모나 감독 권유로 참여’, ‘다른 대안을 찾지 못해 참여’, ‘운동선수로서의 참여’이다. 결론 종합적으로 중도탈락을 일으키는 불필요한 요소를 줄이기 위한 노력과 주체적 자율성을 높여 현명한 의사 결정을 위한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dropout intention phenomenon of university taekwondo student athlete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university taekwondo student athletes and 6 people who are currently continuing taekwondo activiti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The research method used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taekwondo student-athletes had intentions of dropping out, but continued their taekwondo activities. Specifically the reason for university taekwondo student athletes’ intention to drop out are ‘repetitive daily life,’ ‘new activities,’ ‘injury,’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Next, the reason for continuing taekwondo activities are ‘participation for graduation’, ‘participation at the recommendation of parents or coaches’, ‘participation because no other alternative can be found’, and ‘participation as an athlete’.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unnecessary factors that cause intention to dropout and to provide support measures for wise decision-making by increasing individual autonom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university taekwondo student athlete, dropout intention, reasons for dropout intention, reasons for continu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