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주태익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기독교에 대한 믿음을 표현한다. 그가 작품에서 말하는 기독교 신앙은 해방 이후의 혼란 속에서 새로운 시대 를 이끌어갈 이념으로서의 기독교다. 그는 해방을 통해 자유를 얻었지 만 민족의 미래를 이끌어갈 이념을 선택하지 못하고, 이념 갈등과 혼 란의 시대를 살고 있으며, 서로 다른 이념으로 인해 서로를 해치고, 내일을 준비하지 못하는 한국 국민에게 기독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작품에서 외친다. 이 신앙은 작가 자신의 삶을 통해 증명되며, 기존의 불안정한 신앙에서 벗어나는 봉사와 헌신의 삶으로도 나타난 다. 작가 주태익은 자신의 작품에서 손양원 목사의 가족에게 일어난 비극적 사건을 통해 한국 기독교 신앙의 상징적 신화를 창조한다. 작가 주태익은 손양원 목사를 통해 기독교가 이념적으로 분열된 현실 속에서 내일을 준비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말한다. 그는 또한 한국에서 교회가 해야 할 역할은 희생이라고 말한다. 그는 국민과 시 대가 그것을 간절히 원한다고 말한다. 죄 없이 죽은 염소의 예를 들어 설명하는 이러한 대사는 언뜻 보면 너무 단순하고 멜로드라마틱하게 보일 수 있지만, 당시에는 이 연극의 주제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이 작품 이후 주태익이 전쟁 후 방송극 작가로 매우 활발하게 활동했다는 것이다. 방송극에 특화된 그의 극작가적 특성이 이 작품에서 쉽게 드 러난다. 희곡 <향>은 극히 제한된 대본을 사용한다. 서양의 사실주의 극작이 이미 도입되고 그러한 특성이 많은 작품에서 드러나던 시기에 쓰여진 희곡 <향>은 대본의 설정보다는 거의 모든 상황을 인물의 대사 로 설명한다. 이것도 작가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희곡으로 시작된 그의 희곡이 방송극을 통해 크게 꽃을 피울 수 있었던 이유이다.
Joo Tae-ik expresses his faith in Christianity through his works. The Christian faith he speaks of in his works is Christianity as an ideology that can lead a new era in the midst of the chaos following liberation. He shouts in his works that Christianity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Korean people who have gained freedom through liberation but have not been able to choose an ideology that will lead the future of the nation, who are living in an era of ideological conflict and chaos, who hurt each other because of their different ideologies, and who are unable to prepare for tomorrow. This faith is proven through the author’s own life, and it is also shown as a life of service and devotion that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volatile faith. In his works, author Joo Tae-ik creates a symbolic myth of Korean Christian faith through the tragic incident that happened to Pastor Son Yang-won’s family. Through Pastor Son, the writer Joo Tae-ik says that Christianity is the alternative that can prepare for tomorrow in the ideologically divided reality of the country. He also says that the role that the church should play in Korea is sacrifice. He says that the people and the times desperately want it. These lines, which explain using the example of a goat that died without sin, may seem too simple and melodramatic at first glance, but they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 at the time to convey the theme of the play to the audience. Above all, what we must remember is that after this work, Joo Tae-ik became very active as a writer for broadcast plays after the war. We can easily se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is dramaturgy, specialized in broadcast plays, are revealed in this work. The play uses an extremely limited script. Written at a time when Western realistic dramaturgy was already being introduced and such characteristics were being revealed in many works, the play explains almost all situations through the dialogue of the characters rather than through the setting of the script. This can also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 writer. This is the reason why his playwriting, which began with plays, was able to blossom greatly through broadcast play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Korean Christian, Plays, Christian faith, Korean plays after liberation, Joo Tae-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