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역량 중심 경제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중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시안적인 성격의 연구다. 중등학교 교육의 목표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성을 함양하는 데 있으며 최근의 미래교육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중에서 중요한 것은 지식 중심 교육에서 역량 중심 교육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에 경험하고 있는 새로운 사회적 맥락의 가장 큰 변화가 디지털 사회의 도래와 전환인 점을 감안하면 역량 중심의 방향을 수용하면서 이를 디지털 경제시민성의 함양과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역량 중심 경제교육의 가능성 분야로 주목한 기업가정신 교육에서는 기존의 성공한 기업가의 특성과 사례를 학습하는 것을 넘어 일반적인 미래 역량으로서 변혁적 역량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내용과 방법에 대한 기존 논의를 분석하고 연구문제와 연계하여 이들을 평가했다. 결론에서 본 연구는 개인과 사회적 수준의 경제문제 혹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를 수업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고 이러한 수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수업사례의 분석과 체계적인 공유 활동 또한 매우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ntent and metho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an example of competency-based economic education. The goal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is to cultivate citizenship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and among the recent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future educ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knowledge-based education is changing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biggest change in the new social context that has been experiencing recently is the advent and transformation of a digit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explore how to incorporate it into the cultivation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while accepting a competency-oriented direc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focused on the potential of competency-based economic education in this study, aims to present existing discussions and evaluations on the content and methods necessary to cultivat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s general future competencies beyon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existing successful entrepreneurs. To this end,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practice economic problems at the individual and social level, focusing on projects.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nalyzing class cases and systematic sharing activities to support these class activitie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ompetencies-centered economic education,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 Transformative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