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한국판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 21.0과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상관관계, 매개효과 및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간접효과를 배제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순차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 우울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과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o do so,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Internalized Shame Scal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Scale, and 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Scale on 238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y across the country,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mediating effects, and significance tests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4.1.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after excluding the indirect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interventions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as a way to reduce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