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 확대는 제조업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 석유 중심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 전기차, 2차전지 등 새로운 제조업이 주목을 받으며, 이를 뒷받침할 원자재인 니켈, 리튬, 망간, 코발트 등 광물자원 중심으로 전 세계 산업구조가 집적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제산업 구조는 부존자원과 내수시장측면의 한계로 높은 수출입 의존성을 지니고 있어, 핵심 광물자원의 온전한 공급망 확보는 국가경제 발전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 세계 상품운송의 약 80% 이상을 담당하는 해상운송 관련 물류 리스크가 국내 핵심 광물자원의 공급망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안정적인 광물 채굴, 대체재 확보·비축, 재자원화 등 산업통상측면이 아닌 그간 논의되지 않았던 국제물류측면에서 물류 리스크가 광물자원의 공급망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분석결과로는 미국 서안 항만의 혼잡과 파나마운하의 통행제한 등 물류 리스크가 국내 수입된 수산화리튬에 끼친 누적효과는 8,354 톤으로 이는 2022년도 수산화리튬의 국내 총수입량이 10,033 톤임을 감안한다면 물류 리스크가 공급망 안전성에 미친 영향력은 적지 않다. 이를 토대로 치열한 글로벌 경쟁 하에 국가첨단산업의 육성을 지원해야 하는 정부는 안정적인 핵심 광물자원의 공급망 확보를 위해 산업통상차원뿐만 아니라 국제물류차원에서도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logistics risks related to maritime transportation on the supply chains of critical mineral resources in Korea. Research Methods: Using intervention analysis proposed by Box and Tiao,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logistics risks on the imports of mineral resources to Korea. Results in Research: Logistics risks such as congestion at ports on the U.S. West Coast and transit restrictions through the Panama Canal have resulted in a cumulative impact of 8,354 tons on imports of lithium hydroxide to Korea. Research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government, tasked with fostering the nation’s advanced industries amidst fierce global competition, must develop a range of policies not only at the industrial and trade perspective but also from an international logistics perspective to ensure a stable supply chain for critical mineral resource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Logistics Risks, Maritime Transportation, Critical Mineral Resources, Intervention Analysis, Lithium Miner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