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복잡한 산지에서의 산사태 위험성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기존 1차원 무한사면 해석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Shin(2023)의 3차원 한계평형 해석법을 적용하였다. DEM 데이터와 토심 예측식을 활용하여 토심 분포를 산정하고, 강우 침투 해석 및 정적·의사정적 조건에서의 사면 안정성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안전율(FS)과 임계유발체적을 고려한 안정성 지수(SI)를 사용하였으며, 주변 격자의 영향을 반영한 수정된 안정성 지수를 통해 산사태 가능 지역을 시각화하였다. 우면산 사례 분석 결과, 예측된 산사태 발생 위치가 실제와 대체로 일치하였고, 동작구 해석에서는 정적·의사정적 조건에서 주요 위험 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기법은 산사태 위험 평가와 예측에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나, 현장 조건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정밀한 현장 조사와 추가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precision of landslide hazard evaluation in complex mountainous terrains by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1D infinite slope stability method and employing the 3D limit equilibrium analysis of Shin’s (2023) method. Soil depth distribution was estimated using DEM data combined with soil depth prediction formulas, and 3D slope stability analyses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rainfall infiltration and static/pseudostatic forces. The assessment incorporated the factor of safety (FS) alongside a stability index (SI) that accounts for both FS and critical slip volume. A modified SI, integrating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grid cells, was applied to visualize potential landslide-prone areas. In the case of landslides in the Umyeon mountain area, the predicted locations closely aligned with actual occurrences. Similarly, in Dongjak-gu, the staticc and pseudostatic analyses identified comparable high-risk zones. The proposed method demonstrates significant potential for accurately evaluating and predicting landslide risks. However, further field investigations and more detailed analyses are necessary to reconcile any discrepancies between numerical simulations and site-specific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