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이른바 혐오지명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제도적 요인과 언어적 요인으로 분류하고, 인지언어적 방법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내가 속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구별하는 것으로서, 범주화는 언어학에서 모든 형태의 이름짓기에 작용하는 기제이다. 개별 개체의 이름(명명/지칭)을 짓고, 이를 다시 상위 범주로 이름 짓는 과정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이런 범주화 이름짓기를 통해 대상의 속성을 부여하고, 집단의 특징을 일반화하게 된다. 지명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래지명이 공식화되면서 원래의 의미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거기에서 멀어진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애초에 부정적 의도로 형성된 것들도 있지만, 부정적 연상작용으로 인한 것들도 있다. 이러한 지명들은 관심을 받는 시기를 지나가면 자연적으로 소멸하기도 하고, 행정적 처분으로 개정되기도 한다.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으로서의 지명은 삶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사회 문화적으로 깊은 관련성을 가지는 생애주기가 일부 지명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혐오지명이 복수지명의 하위 범주가 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역사적 시간에 따라 잘못 해석되어 현존하는 것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혐오지명이 고대 이래로 형성된 천민 거주지명의 하나였음을 기술하였다. 천민 집단 거주지로서 ‘향, 소, 부곡’ 등의 거주지명이 현재에도 전래지명에 남아 있었다. 또한 그리고 언어적 요인으로는 복수지명의 사례를 살펴보고, 언어적 요인으로서 재지명화, 유사한 의미의 지명소 교체, 감정모형, 이슈관심 주기 모형, 은유와 환유를 들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hate name creation and demise by categorizing the process into institutional and linguistic factors. In particular, the linguistic factors are characterized using cognitive linguistics' metaphor metonymy and the issue attention cycle model. Categoriz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in-groups and out-groups, is a mechanism at work in all forms of naming in linguistics. It is a natural process to name individual entities, which in turn name higher-level categories. This categorical naming allows us to attribute properties to objects and generaliz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While place names often reflect their original meaning as they are formalized and passed down from mouth to mouth, there are many that have strayed from that. Some are formed with negative intentions, while others are the result of negative associations. These place names may die out naturally after a period of interest, or they may be revised by administrative action. As a space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place names are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and we can see that some place names have a life cycle with deep social and cultural relevance. To this end, we discussed plural place names and explained residence of the common people since ancient times. In addition, examples of hateful place names formed by linguistic factors and place names that were revised at the request of residents were also describe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Traditional place names, Hateful place names, Institutional factors, Linguistic factors, Metap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