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스트레스 관리 연구는 다양한 대상으로 수행되고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대학원생, 특히 유아교육 전문가 학생들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개발하고 제시한 대처 전략과 방법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다루는 6주 세미나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지를 세미나 과목에 등록한 유아교육 대학원생 22명에게 배포하였으며, 결과는 세미나에 참여한 후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음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에게 의무화되어야 하며, 스트레스가 학업, 개인 생활, 그리고 직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연구 결과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유아교사가 스트레스와 번아웃에 잘 대처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의 웰빙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Stress management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reported with various populations.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the graduate student population, especially among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he present study aim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a six-week seminar on handling stress using the coping strategies and methods presented and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 pre-test and post-test questionnaire was sent out to 22 early childhood graduate students registered in the seminar course. Results indicate that stress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eminar. Participants also indicated that stress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mandato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how stress can affect them in their academic,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Findings highlight that greater atten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well-being is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can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 to better cope with stress and burn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