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을 대상으로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의 언어 및 행동, 작품 표현 과정의 변화와 스마트폰 과의존도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적 위험군 이상의 점수를 받은 4-5학년 아동이며, 주 2회 1회 90분씩 총 15회기의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언어 및 행동과 작품 표현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매회기 관찰 및 일지를 작성하여 대상별로 질적 분석하였다. 더불어 연구대상의 스마트폰 과의존도와 자기조절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관련 척도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연구대상의 자기 인식과 표현을 촉진하며, 언어 및 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통해 집단 내 긍정적 상호작용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아동에게 긍정적 변화를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고, 상담현장에서 Altered Book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활용 가능성 및 경험적 사례로서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is a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using altered books for children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examine the changes in language, behavior, and artwork expression process, and the changes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elf-regul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in grades 4 and 5 who scored above the potential risk group for smartphone dependence among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and a total of 15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using altered book for 90 minutes twice a week were conducted. In addition, observations and diaries were kept for each session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subjects' language, behavior, and artwork expression proces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subject. Also, the pre- and post-scores of the relevant scal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termine changes in the subjects' smartphone dependence and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ltered book promotes self-awareness and expression of the subjects, and helps positive interaction in the group through positive changes in language and behavior. Second, the subjects' smartphone overdependence decreased. Third, it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lf-regul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altered book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rovided research data as an empirical example of the feasibility of using altered book in counseling practic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Altered Book, Group Art Therapy, Smartphone Overdependence, Self-regul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