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스스로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멀어지는 행동을 의미하는 사회적 위축은 아동ㆍ청소년기 대표적인 내재화 문제 중 하나로 발달적, 임상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국내 연구가 급증하는 등 사회적 위축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23년까지 KCI 등재후보지 이상의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사회적 위축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연구물의 85.8%가 2013년 이후 발표되었으며, 사회과학 분야 연구가 70.8%를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은 초기에는 영ㆍ유아나 초등학생에 집중되었으나, 2012년 이후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하여 중학생(33.7%), 초등학생(21.0%), 고등학생(19.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2012년까지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어졌으나, 전체적으로는 조사/상관연구가 84.3%로 가장 많았으며, 특히 2010년대 이후 패널조사를 활용한 연구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 분석에서는 사회적 위축의 기여요인으로 부모요인(48.3%)이, 결과요인으로는 개인요인(68.3%)이 높은 빈도로 연구되었으며, 측정방식으로는 자기보고 방식이 74.9%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분야 및 대상의 확대, 질적 연구와 다양한 실험 설계,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연구, 학급 차원에서의 개입, 사회적 위축의 다차원적 접근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Social withdrawal, defined as behavior where individuals distance themselves from interactions with others in social contexts,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internalizing problem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olding significant developmental and clinical implications. In light of increasing academic interest, particularly with the recent surge in domestic research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social withdrawal by examining paper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from 1999 to 2023.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urrent research landscape,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challeng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85.8% of all studies were published after 2013, with 70.8% belonging to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Early research predominantly focused on infants, todd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however, after 2012, studies expanded to include diverse age group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3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21.0%), and high school students (19.1%) being the most commonly studied. Regarding research methodology, while experimental studies aimed at testing intervention effectiveness were typical until 2012, survey/correlational studies were most common(84.3%), with a sharp increase in studies utilizing panel surveys from the 2010s onward. In the analysis of research topics and variables, parental factors (48.3%) were identified 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contributors to social withdrawal, while individual factors (68.3%) were most commonly examined as outcomes. Self-report measures were the predominant method of assessment (74.9%).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areas and participants, promoting qualitative research and diverse experimental design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implementing classroom-level interventions, and adopt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social withdrawal.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Social Withdrawal, Research Trends, Children and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