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국악 공연시장에서 창작 판소리 장르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작 판소리 공연의 선택요인이 관객의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창작 판소리 공연의 선택요인으로 관객 참여성, 공연 즉흥성, 스토리 매력성, 국악에 대한 자긍심, 소리꾼 매력성, 공연장 속성, 티켓 가격 적절성, 공연 오락성을 도출하였으며, 창작 판소리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관객 250명을 대상으로 이들 선택요인이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연 오락성, 스토리 매력성, 소리꾼 매력성, 공연 즉흥성, 티켓 가격 적절성 순으로 관람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작 판소리 공연의 선택요인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로서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또한 국악 공연의 관객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효과적인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를 지닌다.


Recently, the genre of created pansori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arke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audience satisfaction with created pansori performances. To this end, factors such as audience participation, performance spontaneity, story attractiveness, prid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er attractiveness, venue attributes, ticket price appropriateness, and performance entertainment value were identifie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50 audience members who had experienced created pansori performance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audience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formance entertainment value, story attractiveness, performer attractiveness, performance spontaneity, and ticket price appropriateness had positive effects on audience satisfaction, in that order. As the first study to identify the selection factors for created pansori performances,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t academic value and provides practical data for effective audience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