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우리나라는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 문제로 인해 초등학교 시설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제도에 대한 문제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 초등학교 시설의 공간은 교육부의 미래교육 정책으로 인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목적을 위한 공간이 만들어 지고 있다. 그 결과 교육과 프로그램에 의한 공간배치를 위주로 한 계획으로 인해 양적 발전 및 질적 발전을 이루는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재해 및 재난의 상황에서 초등학교는 대피 및 피난상황에 매우 합리적이며 효과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교실에서 피난출구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동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복도공간과 교실공간의 동선이 우선 시 된다. 이에 기존의 초등학교 시설 피난관련 법규를 적용한 초등학교 공간의 안전성과 복도공간을 통한 피난 및 대피계획이 적절한지에 대한 분석을 본 연구에서 진행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으로 복도공간에서 피난출구 까지 대피하는 과정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추후 초등학교 시설의 계획 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due to the rapid declin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in Korea, various perspectives on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and systems are being shared. In particular, recently, due to the future education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school facility spaces for various programs have been created. As a resul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s have been made due to plans that focus on education and space allocation by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afety of elementary school spaces applying the existing laws related to evacuation of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and whether evacuation and evacuation plans through corridor spaces are appropriat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problem of space through the simulation of the evacuation process from the corridor space to the evacuation exit and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future elementary school facility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