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국가정체성 간 관계에서 한국어 실력에 의해 조절된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의 2차 웨이브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1차년도 초등학교 4학년 학생 총 422명(남학생 226 (53.56%)명, Mage = 10.22, SD = .514)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가자는 자아존중감, 한국어 실력, 이중문화 수용태도, 국가정체성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변인 간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8 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한국어 실력의 상호작용이 국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부 직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 상호작용은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매개하여 국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부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조건부 간접효과는 한국어 실력이 낮은 집단에서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국가정체성 형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한국어 실력, 그리고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같은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by Korea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national identity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of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442 participants (226 (53.56%) boys, Mage = 10.22, SD = .514) answ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self-esteem, Korean ability, bicultural attitudes, and national identity. PROCESS Macro model 8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esteem and Korean ability on national identity was significant. Furthermore,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this interaction on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mediation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were significant,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is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strongest in the group with low Korean abilityConclusions: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h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evelop national identit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factors such as self-esteem,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bicultural acceptanc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upportiv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