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8~2022년 어가경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전소득이 어가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니계수에 대한 Lerman-Yitzhaki 분해 방법을 적용하여 이전소득의 소득 불평등 완화효과를 격차감소효과와 순위변동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어업보조금, 농업보조금, 기타 공적보조금, 사적보조금 등 모든 유형의 이전소득이 소득 불평등 완화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기타 공적보조금의 효과가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이전소득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보여 어가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켰다. 모든 원천별 이전소득에서 격차감소 효과가 순위변동 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각각의 이전소득은 어가소득의 순위를 변동시키면서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 효과보다는 순수하게 어가소득 간 격차를 완화시키면서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보조금(어업보조금 및 기타 공적보조금)의 경우 특정 연도에 순위변동 효과가 음(-)의 값을 보여, 과도한 소득 순위 변동이 불평등 완화 효과를 감소시키고 수평적 형평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순위변동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격차감소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타공적보조금의 지급방식을 개편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income transfers on income inequality among fishery household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Fishery Household Economy Survey (2018-2022). By employing the Lerman-Yitzhaki decomposition method for the Gini coefficient, the study differentiates between the gap-narrowing effect and the re-ranking effect of income transfers on reducing income inequality. The findings reveal that all types of income transfers (fisheries subsidies, agricultural subsidies, other public subsidies, and private transfers) contributed to mitigating income inequality, with other public subsidies having the most significant effect. Furthermore, the income transfers exhibite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cross sources, generating a synergistic effect in reducing inequality. The gap-narrowing effect outweighed the re-ranking effect for all sources of income transfer, indicating that the primary driver of inequality reduction lies in narrowing income disparities rather than changing income rankings. However, certain subsidies (fisheries and other public subsidies) showed negative re-ranking effects in specific years, suggesting that excessive income re-ranking could diminish the effectiveness of inequality mitiga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alancing equity and efficiency in government subsidy policies, particularly by minimizing re-ranking effects and maximizing gap-narrowing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