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학원 교육이 국가경쟁력 강화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핵심 분야로 강조됨에 따라 대학원 교육 전반의 종합적인 질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대학원 교육 및 연구의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정보공시 제도에 대해서 개관하였으며, 대학원의 질 관리를 위한 현행 성과지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표를 추가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대학원 질 관리를 위하여 새로 추가될 필요가 있는 대학원 정보공시 항목이 대학원 질 관리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교육수요자의 인식을 파악하였고, 대학 내 대학원 관련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성과, 교육여건 및 지원체계, 교육 및 산학협력, 학교 및 법인 회계, 졸업 후 진로 등의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현재의 관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인 공시정보 내용으로 전임교원 연구실적, 논문자격 조건과 심사 관련 규정, 대학원생 인권 관련 현황 및 조치사항, 대학원생 1인당 교육비 등이 새롭게 추가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As graduate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key fiel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comprehensive quality management of overall graduate education is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establish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graduate education and research.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provided an overview of the graduat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ssessed awareness of current performance indicators for quality management in graduate programs, and aimed to identify additional indicators that require strategic management.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stakehold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new information disclosure items for effective graduate school quality management and compared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s according to those responsible for graduate-related tasks within the institu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urrent level of management is relatively inadequate compared to the importance in areas such as research performance, educational conditions and support systems, education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chool and foundation accounting, and post-graduation pathways. Furthermore, it was identified that specific information items, including full-time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qualification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sis evaluation, current status and measures related to graduate student rights, and educational expenses per graduate student, need to be newly included in the disclosure system.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Outcomes of Graduate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of Graduate School, Sharing Information of Graduate School, Data System of Higher Education, Key Performance Indicator